본문 바로가기
라이프

2025년 6월 3일 조기 대통령 선거 정보와 주요 후보자 정리

by 리록바 2025. 4. 14.
반응형

 

 

1. 왜 2025년 대선이 조기에 치러지는가?

2025년 대통령 선거는 원래 예정되어 있던 2027년 정기 대선이 아닌, 조기 대선입니다. 이는 2025년 초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심판을 통해 파면되면서 발생한 <strong헌법상 대통령 궐위 사유에 따른 것입니다.

헌법 제68조 제2항에 따라,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에 후임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므로,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25년 6월 3일(수요일)을 선거일로 확정했습니다.

2. 선거 개요

  • 선거 명칭: 2025년 조기 대통령 선거 (제21대 대통령 선거)
  • 선거일: 2025년 6월 3일 (수요일)
  • 사전투표: 2025년 5월 30일(금) ~ 5월 31일(토)
  • 투표시간: 오전 6시 ~ 오후 6시
  • 대통령 임기: 5년 (2025년 6월 ~ 2030년)

3. 주요 정당별 대선 후보자

아직 후보자 등록 마감 전이지만, 현재까지 각 정당의 공식 경선 또는 단일화 과정을 통해 사실상 유력 후보가 결정되어 있습니다.

3.1 더불어민주당 - 이재명

  • 소속: 더불어민주당
  • 약력: 국회의원(인천 계양을), 전 경기도지사
  • 특징: 2022년 대선 패배 이후 재도전. 강력한 당내 기반과 지지층 보유.
  • 공약 키워드: 민생 복원, 검찰 개혁, 기본소득 재추진

3.2 국민의힘 - 한동훈

  • 소속: 국민의힘
  • 약력: 전 법무부 장관, 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
  • 특징: 윤석열 전 대통령의 측근. 젊은 이미지와 개혁 성향으로 급부상.
  • 공약 키워드: 청년정치, 법치 회복, 공정한 기회

3.3 제3지대 - 안철수 / 유승민 등 거론

  • 안철수: 독자 출마 가능성 보도. 중도·개혁 노선 강조.
  • 유승민: 보수 내 비주류이지만 합리적 보수층의 지지 기반.
  • 심상정: 정의당 내 출마 논의 중이나, 당내 지지 기반 약화

4. 향후 일정 및 변수

2025년 4월 말까지 각 정당의 후보 등록이 마감되며,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5월 16일부터 6월 2일까지입니다. 특히 TV토론, 여론조사, 단일화 여부 등이 선거 판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.

5. 마무리

이번 2025년 조기 대선은 헌정 질서 회복과 정치적 리더십의 전환점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습니다. 유권자 한 사람 한 사람의 판단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하게 될 중요한 시점입니다.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